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Market Research Report

시장보고서

사이넥스 국내 의료기기 시장보고서 - 창상피복재 2023
2022년 12월123 페이지Format: PDF or EXCEL

(주)사이넥스


2022년 기준 국내 창상피복재 시장의 전체 규모는 약 ***억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년대비 약 ***% 성장한 수치이다. 그 중 급여 시장은 약 ***억원(전체 시장의 약 ***%) 수준으로 예측된다. 이후에는 연평균 최소 **%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2026년에는 약 ***억원의 시장규모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그 중 급여 시장은 약 ***억원 규모(전체 시장의 약 ***%)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 기준 국내 창상피복재 시장의 전체 규모는 약 ***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8년 약 ***억 원에서 연평균 ***% 성장한 수치인데 비급여 및 약국, 의료기기상 등의 소매 유통 채널 최종 구매가를 포함한 것이다. 급여 시장은 ***억 원 수준으로 국내 창상피복재 시장에서 약 ***%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식약처에서는 창상피복재를 B군 의료용품(Medical Supplies)의 하위로 분류하고 있다. 창상피복재로 분류되는 품목명은 모두 18개였지만, 2차치유생리식염수창상피복재, 상호작용창상피복재, 가온밀봉창상피복재 등의 3개 품목명이 2019년 11월 20일 시행령 이후 품목 고시에서 삭제되어 이 보고서에서 주요하게 다루지 않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109호)
또한, 유착방지피복재(품목분류번호 B07070.14)는 체내 조직, 기관 등의 유착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창상피복재로 분류되나 기능은 유착방지재이므로 이 보고서 대상 제품에서 제외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일명 내시경 수술 지혈제로 알려진 합성재료흡수성창상피복재(품목분류번호 B07070.18)를 이 보고서 안에 포함하지 않았다. 또한 유지놀계치주창상피복재(품목분류번호 B07070.17)의 경우 식약처에 등록된 업체 및 제품이 없는 상황이어서 상세히 다루지 않았다.
여기에 더해서, 창상피복재의 특성상 여러 진료과에 걸쳐진 만성질환 환자에 상당량이 사용되는 만큼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최대한 정확한 수치를 얻기 위해 2019년 보고서에 비해서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다. 기존 보고서를 이미 읽은 독자들의 경우 급여 시장이 축소된 것에 대해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연유가 있었음을 인지하고 나서 이 보고서를 읽기를 권유하는 바이다.
기존 보고서에 비해 줄어든 숫자 자체를 일대일로 대입해서 비교하기보다는 창상피복재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용도로 이 보고서를 활용하기를 권한다. 거시적인 면에서 창상피복재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상세 사항에서 여러 변화가 있었다. 2020년부터 2022년 기간 동안 멘리케헬스케어코리아의 메피렉스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하였고, 쥬디스코퍼레이션의 솔박 제품은 시장에서 존재감이 낮아졌다. 상세한 설명은 제4장과 제5장에서 확인 가능하다.
의료기관 종별 사용규모를 살펴보면, 2022년 총사용량 기준으로 병원 약 ***만건(***%), 종합병원 약 ***만건(***%), 상급종합병원 약 ***만건(***%) 순으로 종합병원 및 병원에서 창상피복재 사용량이 높다. 2021년 창상피복재 급여 청구금액을 기관 유형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이 구입금액 기준 약 ***억원으로 전체 청구금액 중 가장 큰 비율인 ***%를 차지하고 있다. 이어서 종합병원 약 ***억원(***%), 병원 약 ***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진료과별 규모를 살펴보면, 총 사용량 기준으로 외과 ***회 이상(***%), 정형외과 ***회 이상(***%), 내과 ***회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 청구금액 기준으로는 내과 약 ***억 원(***%), 정형외과 약 ***억 원(***%), 외과 약 ***억 원(***%), 성형외과 약 ***억 원(***%) 순이었다.
2022년 기준 ***곳의 제조사/수입사가 국내 창상피복재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데 이는 2018년 ***곳에 비해 연평균 ***% 이상씩 성장한 수치이다. 공급량 상위 ***개사의 합계 시장점유율이 시장 전체의 약 ***%를 차지하고 있다.
의료기관 구입액 기준으로 공급사별 규모를 살펴보면, 멘리케 약 ***억 원(***%), 스미스앤드네퓨 약 ***억 원(***%), 한국먼디파마 약 ***억 원(***%), 일동제약 약 ***억 원(***%), 쥬디스 약 ***억 원(***%), 대웅제약/시지바이오 약 ***억 원(***%), 콜로플라스트코리아 약 ***억 원(***%), 콘바텍코리아 약 ***억 원(***%), 한국쓰리엠 약 ***억 원(***%), 기타 약 *** 원(***%)으로 추정된다.
여러 창상피복재 종류 중에서 폼드레싱이 여전히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급여권에서는 일명 MD 크림이라고 불리는 바르는 의료기기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이 품목은 건강보험 치료재료목록에 중분류명 ‘피부보호제’로 등재되어있다. 정부가 판매가격을 통제하지 않으므로 공급사가 판매가격 결정권을 가지고 있어서 공급자와 의료기관 모두에게 상대적으로 고수익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전통적인 제약회사들뿐만 아니라 화장품 업계의 대기업들도 출사표를 던진 상태여서 앞으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국민건강보험은 창상피복재 시장에 있어서 기회와 위협, 양날의 검이다. 박근혜 정부 때 선별급여가 등장한데 이어 문재인 정부 때 예비급여가 등장했다. 보장성 강화라는 명목 하에 그 전에는 비급여로 분류되었던 많은 창상피복재가 급여로 전환되었고, 이 과정에서 제품의 판매단가가 낮아졌다. 종전에는 비급여제품이어서 공급자가 자유롭게 정하여 판매하던 가격이 치료재료 급여 및 비급여 목록에 급여로 고시되면서 상한금액이 공표되어 상한금액 이상으로 판매할 수 없는 제한이 생겼기 때문이다. 비급여의 급여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급여 기준이 어떻게 변경되느냐에 따라 창상피복재 시장에 적지 않은 파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치료재료 급여 및 비급여 목록에 고시된 창상피복재 품목 수(치료재료 중분류 코드 기준)는 연도별 진폭이 지속되고 있다. 2018년 ***개에서 2020년 ***개로 줄어들었다가 2022년 다시 ***개로 늘어났다. 다만 비급여품목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데 2018년 ***개에서 2022년 ***개로 4년 동안 연평균 ***%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창상피복재 시장은 대부분의 제품이 급여권 안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장 일러두기
   1.1 취지
   1.2 활용 제안
   1.3 범위
   1.4 세부시장 구분
   1.5 조사방법
      1.5.1 문헌 조사(Secondary Research)
      1.5.2 기초 조사(Primary Research)
   1.6 분석 및 추정방법
      1.6.1 자료원별 시장규모, 가격, 기준
      1.6.2 환율 기준

제2장 핵심 요약

제3장 시장 현황
   3.1 공급가액 기준 시장규모
      3.1.1 공급 규모 전망
   3.2 유통경로별 시장규모
   3.3 의료기관 구입액 기준 시장규모
      3.3.1 품목별 창상피복재 급여 규모
      3.3.2 공급사별 급여규모
      3.3.3 진료과별 창상피복재 급여규모
      3.3.4 의료기관 종별 창상피복재 급여규모

제4장 주요 공급사·제조사 현황
   4.1 콜로플라스트코리아(COLOPLAST)
   4.2 콘바텍코리아(Convatec Group PLC)
   4.3 멘리케헬스케어코리아(MOLNYCKE HEALTHCARE)
   4.4 한국먼디파마(Mundi Pharma)
   4.5 스미스앤드네퓨코리아(Smith&Nephew PLC)
   4.6 쥬디스코퍼레이션(Juthis)
   4.7 일동제약(ILDONG)
   4.8 한국쓰리엠(3M)
   4.9 대웅제약(Daewoong)
   4.10 시지바이오(CGBIO)
   4.11 티앤엘(T&L)·제네웰(Genewel)·원바이오젠(WON Biogen)

제5장 시장 특성 및 향후전망
   5.1 COVID-19로 인한 시장 영향
   5.2 국내 헬스케어 시장 특징
      5.2.1 현대적 창상피복재의 발전 역사
      5.2.2 지불 환경의 변화 역사
      5.2.3 국내 의료기관 수
      5.2.4 창상피복재의 급여 및 비급여 분류
   5.3 창상피복재 시장규모 관련 주요 지표
      5.3.1 의료비 증가와 병상 수 경쟁
      5.3.2 인구 고령화
      5.3.3 수술 건수
      5.3.4 창상처치 건수
         5.3.4.1 단순처치 건수
         5.3.4.2 염증성 처치 건수
         5.3.4.3 화상 처치 건수
         5.3.4.4 피부과 처치 건수
         5.3.4.5 생물학적 처치 건수
         5.3.4.6 수술후 처치 건수
      5.3.5 당뇨성 족부궤양
      5.3.6 욕창
      5.3.7 화상
      5.3.8 소비자 의식 향상
   5.4 성장 견인 요인
      5.4.1 수요
      5.4.2 공급
   5.5 기회
      5.5.1 인구 고령화로 인한 경상의료비
      5.5.2 건강보험 급여 확대 정책
      5.5.3 혁신적인 기술의 창상피복재
   5.6 성장 억제 요인
      5.6.1 건강보험 정책 변화
      5.6.2 건강보험 분류 체계
      5.6.3 환율 불안
   5.7 미충족 수요

[표 1] 국내 창상피복재 공급가 시장규모 (2018-2022) (단위: 백만 원)
[표 2] 국내 창상피복재 공급규모 전망 (2022-2026) (단위: 백만 원)
[표 3] 국내 창상피복재 의료기관 구입액 기준 시장규모 (2018-2022)
[표 4] 국내 창상피복재 품목별 급여규모 (2018-2022)
[표 5] 국내 창상피복재 공급사별 급여규모 추정치 (2022)
[표 6] 국내 창상피복재 진료과별 급여규모 (2018-2022)
[표 7] 주요 진료과별 사용 전망
[표 8] 국내 창상피복재 의료기관별 급여규모 (2018-2022)
[표 9] 주요 브랜드별 제조 및 공급기업 현황
[표 10] 기업별/품목별 공급 현황 (2022년 12월 기준)
[표 11] 콜로플라스트코리아 주요 공급 현황
[표 12] 콘바텍코리아 주요 공급 현황
[표 13] 멘리케헬스케어코리아 주요 공급 현황
[표 14] 한국먼디파마 주요 공급 현황
[표 15] 스미스앤드네퓨코리아 주요 공급 현황
[표 16] 쥬디스코퍼레이션 주요 공급 현황
[표 17] 일동제약 주요 공급 현황
[표 18] 한국쓰리엠 주요 공급 현황
[표 19] 대웅제약 주요 공급 현황
[표 20] 시지바이오 주요 공급 현황
[표 21] 티앤엘·제네웰·원바이오젠 현황
[표 22] 창상피복재 관련 국민건강보험 변화
[표 23] 국내 의료기관 수 (2021)
[표 24] 국내 주요병원 병상 수 (2021)
[표 25] 창상피복재 급여 및 비급여 분류 (2022.12.01 기준)
[표 26] OECD 가입국의 병원 전체 병상 수
[표 27] 국가별 GDP 대비 경상의료비 비교 (2021년 잠정치 기준)
[표 28] 국내 인구와 65세 이상 고령인구 추계
[표 29] 노인(65세 이상) 진료비 현황
[표 30] 연도별 수술 청구 건수 (2017-2025) (단위: 건)
[표 31] 연도별 주요 수술 건수 추이 (2018-2020) (단위: 건, %)
[표 32] 국민건강보험창상처치 수가 코드와 정의
[표 33] 국민건강보험창상처치 수가별 급여실적 (2017-2021)
[표 34] 국민건강보험창상처치 수가 급여실적-단순처치 (2017-2021)
[표 35] 국민건강보험창상처치 수가 급여실적-염증성처치 (2017-2021)
[표 36] 국민건강보험창상처치 수가 급여실적-화상처치 (2017-2021)
[표 37] 국민건강보험창상처치 수가 급여실적-피부과 처치 (2017-2021)
[표 38] 국민건강보험창상처치 수가 급여실적-생물학적 처치 (2017-2021)
[표 39] 국민건강보험창상처치 수가 급여실적-수술후 처치 (2017-2021)
[표 40] 국내 당뇨성 족부궤양 진료환자 (2017-2021) (단위: 명)
[표 41] 국내 의료기관 욕창 진료환자 수 (2017-2021)
[표 42] 연령대별 국내 의료기관 욕창 진료현황 (2021)
[표 43] 의료기관종별 국내 화상 환자 추이 (2017-2021)
[표 44] 외래 및 입원별 화상 환자 수 추이(2018-2021)
[표 45] 연령별 화상 환자 수 추이(2018-2021)
[표 46] 국내 화상외과 추이 (2017-2021)
[표 47] 성장 견인 요인 지표별 전망 요약
[표 48] 창상피복재 치료재료 품목수 변화 (2018-2022) (단위: 개)
[표 49] 창상피복재 종류별 급여기준
[표 50] 환율 등급별 치료재료 상한금액 조정율표

[그림 1] 국내 창상피복재 공급가 시장규모 (2018-2022) (단위: 백만 원)
[그림 2] 국내 창상피복재 공급규모 전망 (2022-2026) (단위: 백만 원)
[그림 3] 창상피복재 유통경로별 시장규모(2022-2026)
[그림 4] 창상피복재 유통경로별 시장규모(2018-2021)
[그림 5] 국내 창상피복재 의료기관 구입액 기준 시장규모 (2018-2022)
[그림 6] 국내 창상피복재 품목별 급여규모-청구금액기준 (2022) (단위: 백만 원)
[그림 7] 국내 창상피복재 품목별 연도별 급여규모 추이 (2018-2022)
[그림 8] 국내 창상피복재 공급사별 급여규모 추정치 (2022) (단위: 억 원)
[그림 9] 국내 창상피복재 진료과별 급여규모-청구금액 기준(2022) (단위: 백만 원)
[그림 10] 국내 창상피복재 진료과별·연도별 급여규모 추이 (2018-2022)
[그림 11] 연도별 질병군 범주별(DRG) 건당 요양급여비용 추이 (2016-2021) (단위: 건)
[그림 12] 연도별 분만건수 추이 (2017-2021) (단위: 건)
[그림 13] 국내 창상피복재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청구금액기준(2022) (단위: 백만 원)
[그림 14] 국내 창상피복재 의료기관 종별 연도별 급여규모 추이 (2018-2022)
[그림 15] 국내 COVID-19 환자 수 추이 (2020-2022) (단위: 명)
[그림 16] 국내 빅5병원 요양급여 청구액 현황 (2016-2020) (단위: 억 원)
[그림 17] 건강보험요양급여액이 감소한 국내 상급종합병원 순위 (2018-2021 3분기 / 순위)
[그림 18] 국내 연도별 요양기관수 현황 (2011-2021) (단위: 개소)
[그림 19] GDP 대비 경상의료비 추이 (2012-2021) (단위: %)
[그림 20]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그림 21] 연도별 노인(65세 이상) 진료비 현황 (단위: 억 원 / 천 명)
[그림 22] 국내 당뇨성 족부궤양 환자수 (2017-2021) (단위: 명)
[그림 23] 국내 욕창 환자수 (2017-2021) (단위: 명)

콜로플라스트코리아(COLOPLAST)
콘바텍코리아(Convatec Group PLC)
멘리케헬스케어코리아(MOLNYCKE HEALTHCARE)
한국먼디파마(Mundi Pharma)
스미스앤드네퓨코리아(Smith&Nephew PLC)
쥬디스코퍼레이션(Juthis)
일동제약(ILDONG)
한국쓰리엠(3M)
대웅제약(Daewoong)
시지바이오(CGBIO)
티앤엘(T&L)
제네웰(Genewel)
원바이오젠(WON Biogen)

시장보고서 (Full Report) 2,000,000원 (VAT별도)

시장데이터 (Data Pack) 1,000,000원 (VAT별도)


_